11월, 2020의 게시물 표시

김기석 - '구라파적인 것'의 종말

이미지
'구라파적인 것'의 종말 김기석   "세계를 신과 인간과 자연 으로 생각한다고 하면 그리스정신의 입장은 인간중심주의, 기독교의 입장은 신중심주의, 구라파정신의 입장은 자연중심주의라고 할 수 있으리라. 이리하여 서양정신사는 그리스정신 기독교 및 구라파정신에 있어서 각각 인간, 신, 자연을 중심으로 하고 전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 사람들은 인간에 있어서뿐 인간을 본 것이 아니고 신이나 자연에 있어서도 인간적인 것을 읽으려고 했 다. 그리고 그들의 인간은 극히 즐겁고 유쾌한 인간으로서 인간 자신의 한계에 대한 성찰을 결한, 따라서 아직 신을 모르는 인간이었다. 이리하여 그들의 Humanism은 현세주의 자유주의 이성주의 문화주의 내지 낙천주의에 마쳤다. 기독교는 이와 반대로 인간 자신의 침통한 현실에 대한 고뇌와 자각에서 출발하여 인간을 넘어서는 절대자에 돌아가기를 권하고 인간이 자연과 함께 신에 의하여 창조된 것이면서 도리어 신의 성의를 거슬려 그 때문에 죄와 악에 떨어졌다고 한다. 기독교는 인간의 최대 구경의 사명이 이 신을 사랑하고 신을 두려워하고 신에게 돌아가는 데 있어 신의 성의를 받드는, 신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계명의 근본정신이라고 가르친다. 구라파 정신의 개전은 서양 중세를 통하여 오랜동안 누려 온 인간과 자연을 탈환 회복하는 운동이었다. 근세 구라파사람들은 말하자면 신에 눌리이고 신에 지쳐 그 고달픈 가슴을 안고 자연에로 자연에로 달렸다. 문예부흥기는 그들이 오랜동안 떠나 있던 자연에 돌아와 씩씩하고 반가운 자연의 품에 안기면서 몸과 마음이 통째로 이 즐거운 자연에 취하는 시가였다. 그들은 인간마저 한개 자연으로 보았고 신조차 이것을 자연 속에서 읽으려고 했다. 그들의 인문주의는 오래지 않아 인간기계론에 나아갔고 그들의 범신론은 마침내 무신론과 바뀌었다. 공리주의 실증주의, 행복설, 자연주의, 귀납법, 유물론, 자연과학의 발흥, 산업혁명, 기계주의 문명, 유물사관, 자유경쟁, 자본주의의 발달, 근대도시의

김범부 - 우리의 국가관과 화랑정신

이미지
우리의 국가관과 화랑정신 김범부 "나 자신이 일찍이 여러 나라 국민의 국가관을 비교 연구해 본 일은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사람들의 국가관에 관한 한 별도의 연구까지는 한 적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 윤관만은 대강 말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은 가장 직접적으로 나 자신이 견지하는 국가관이 있고 우리 동포들이 국가에 대해 가지는 생각, 심정, 행동, 생활현실 등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먼저 한국 사람의 고유한 국가관을 밝혀둘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른 나라 사람들의 국가관이나 수입된 국가학에서 논의되는 이론 따위를 운위하는 일은 여기서는 삼가자는 취지에서 하는 말이다. 한국인이 역사적으로 고유하게 지녀온 국가관을 확인하고 적어도 그 장점만은 지켜나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해두고 싶다. 그러면 한국인의 고유한 국가관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의 역사적 사실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면서 대강 짚어보면 마음에 와 닿는 무엇이 있다. 이를테면 5 ·16 군사혁명은 혁명동지들의 죽음을 각오한 국가관이 있어서 가능했을 것이다. 4 ·19학생의거 역시 청년동지들의 목숨을 내건 국가관이 드러난 역사의 현장이었다. 그리고 6 ·25때 적진으로 몸을 던져 싸우다가 지금은 생사조차 알 수 없는 수많은 젊은이들의 국가관은 무엇이었는가. 특히 개성전투에서 산화한 10용사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움직이고 있었을까. 일제 40년 동안 국내외에서 생사를 초월하여 투쟁한 항일의사들의 국가관은 무엇이었을까. 이처럼 역사의 굽이굽이마다 자신의 목숨을 아까워하지 않고 몸을 던져 싸운 이들이 마음 속으로 간절히 원했던 것이 과연 무엇이었을까." "...우리 역사에서 이런 사례를 들자면 한이 없다. 아마 책 한권은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어질고 의로운 사람들의 심정과 행동과 생활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거기 하나의 유형이 떠오른다. 그들이 지녔던 국가관의 한복판을 유유히 흐르는 하나의 공통된